"저요? 그냥 노는데요" 취업해도 '금방 퇴사', 왜?

작성자 정보

  • 작성일

컨텐츠 정보

본문

17535882426992.jpg

올해 5월 기준으로 청년 취업자가 368만 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 명 줄어들었습니다.



17535882431458.jpg


경제 활동 참가율도 49.5%로 1년 전보다 0.8%포인트 하락했습니다.

경제활동참가율은 인구 대비 경제활동인구, 그러니까 취업자와 실업자를 더한 비율을 뜻하는데, 청년층 절반이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라는 얘기입니다.



17535882435234.jpg


이 수치가 50% 밑으로 내려간 건 2021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입니다.



17535882439016.jpg


일단 졸업한 사람이 많이 줄었습니다.

청년층 중 최종 학교 졸업자는 417만 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 2천 명이나 줄었습니다.



17535882443413.jpg


또 우리나라 청년층 인구도, 그러니까 15세부터 29세까지가 797만 4천 명으로 800만이 안 되는데요.

5월 기준으로 청년층 인구가 80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4년 이후 처음입니다.

이렇게 청년 인구도 줄고, 졸업한 사람이 주니까 당연히 취업자 수에도 영향을 줄 테고요. 


17535882447765.jpg


제조업, 건설업 부진의 영향을 받아서 청년 취업자 수는 최근 줄어드는 추세입니다.



17535882452075.jpg
 

이렇게 졸업을 했는데 1년 이상 취업을 못 한 청년이 56만 명이 늘었고요.

3년 이상 미취업 청년도 23만 명에 달했습니다.



17535882456163.jpg

학교 졸업 이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은 121만 2천 명에 달하는데요.

여기에 처음에 언급했듯이 졸업 후 일자리가 없는 기간, 그러니까 백수인 기간은 작년보다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

17535882460322.jpg


1년 이상 미취업 청년은 56만 5천 명으로 비중이 46.6%로 1년 전보다 1%포인트 상승했고요.



17535882464731.jpg


3년 이상인 '장기 백수'도 23만 명으로 1년 전보다 18.5%에서 18.9%로 0.4%포인트 더 커졌습니다.



17535882468671.jpg

그런데 이 시간 동안 뭘 하느냐 물었더니 많은 경우인 40.5%가 직업교육이나 취업 시험 준비를 한다고 답했지만, 그냥 노는 백수 청년 비율도 늘었습니다.

4명 중 1명꼴로 실제 '그냥 시간을 보낸다'고 답했는데, 지난해보다 0,4%포인트 증가했습니다.



17535882472432.jpg

대학도 취업 때문에 바로 졸업을 못 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학 졸업자의 평균 졸업에 걸리는 기간은 4년 4.4개월로 1년 전보다 0.6개월 더 길어졌습니다.



17535882476197.jpg
 

첫 직장에서 일한 기간은 평균 18개월 정도 됐는데요.

첫 직장에서 일한 기간이 지난해보다 오히려 줄었습니다

퇴사 이유로는 근로 여건 불만족이 가장 많았습니다


1753588248028.jpg
 

물론 부정적인 내용만 있는 건 아니었고요.

첫 일자리가 임금 근로자인 경우 취업까지 걸리는 시간은 11.3개월로 1년 전보다는 0.2개월 줄어들기는 했고요.

그래도 졸업 후 취업까지 걸린 시간이 평균 1년에 육박하죠.



17535882484206.jpg
 

첫 일자리는 숙박 음식점업이 가장 많았고, 광업·제조업과 도소매업 순이었습니다.

또 첫 일자리 임금도 작년과 비교하면 올랐는데요.

월 200만 원에서 300만 원이 39.7%로 가장 많았고, 150만 원에서 200만 원과 100만 원에 150만 원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.



17535882488483.jpg

작년과 비교하면 200만 원에서 300만 원이 4.5%포인트, 또 300만 원 이상이 1.7%포인트, 각각 오르는 등 고임금 구간 비중에서 상승했습니다.



17535882492187.jpg
 

이렇게 임금 수준은 다소 개선하는 듯했지만 근로 여건에 만족하지 못해서 일자리를 구해도 금세 그만뒀습니다.

청년층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1년 6.4개월에 불과했는데, 전년 동월보다 0.8개월 줄어든 겁니다.



17535882496057.jpg

첫 일자리를 그만두는 이유는 보수나 노동시간 등 근로 여건 불만족이 46.4%로 가장 많았는데, 지난해와 비교하면 0.9%포인트 더 커졌습니다.


청년 노동자의 일자리 미스 매치가 심화 됐다는 뜻으로 읽힙니다.


https://youtu.be/rkuTZRV6eCc

관련자료

댓글 2

ㅋㅋㅋㅋㅋㅋ님의 댓글

  • ㅋㅋㅋㅋㅋㅋ
  • 작성일
아주 잘들하고 있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지금처럼만 계속 파이팅~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

펩시필터님의 댓글

  • 펩시필터
  • 작성일
으이그~

최근글


새댓글